-
[ 목차 ]
청년들, 아이들은 이 나라의 희망입니다. 자라나는 청년, 아이들의 꿈을 마음껏 펼칠 수 있도록 정부에서 돕는 금융상품이 나와 소개드리고자 합니다. 청년들을 위한 희망두배 청년통장, 아이들을 위한 디딤씨앗통장, 꿈나래통장입니다. 하나씩 찬찬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디딤씨앗통장(아동,어린이)
취약계층 어린이들은 초기 사회진출을 위한 비용을 마련하는 것이 쉽지 않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어릴 때부터 조금씩이라도 자취를 위한 비용을 적립해야 합니다. 디딤씨앗통장은 어린이들의 미래를 위한 통장으로 수시 신청이 이루어지므로 복지로에서 확인해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아래 복지로 사이트 링크를 첨부하였으니 확인해보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디딤씨앗통장 정보
지원대상
- 만 18세 미만의 보호대상아동(양육시설, 그룹홈 거주, 가정위탁 아동 등) 또는 기초생활보장 수급가구(생계, 의료,주거,교육급여)아동, 차상위계층(차상위,한부모)아동
지원내용
- 아동 통장에 본인 또는 후원자가 일정 금액을 적립하면 서울시가 1:2로 보조금(월 최대 10만원)을 추가로 적립해줍니다. 저축한 돈은 향후 만 18세 이후 취업, 학자금, 주거비 등의 용도로 쓸 수 있으며 만 24세 이후에는 용도에 관계없이 사용이 가능합니다.
디딤씨앗통장 저축액 자세히 보기
서울시와 본인 적립금에 대한 예시입니다. 본인 저축을 만약 월에 3만원 한다면 서울시가 2배인 6만원을 입금해줍니다. 그렇게 18년을 적립하게 되면 총 1,944만원이 됩니다. 아이가 자립을 할 때 보증금이나 학자금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월 5만원을 적립한다면 서울시에서는 최대 적립금액인 10만원을 월에 지원해줍니다. 따라서 최종적오르 3,240만원이 모이는 셈입니다.

복지서비스>서비스 찾기>복지서비스 상세(중앙) | 복지로
https://www.bokjiro.go.kr/ssis-tbu/twataa/wlfareInfo/moveTWAT52011M.do?wlfareInfoId=WLF00003258
www.bokjiro.go.kr
희망두배 청년통장
희망두배 청년통장은 근로 청년들을 위한 적금상품입니다. 근로 청년들의 목돈 마련에 도움을 주는 자산형성지원사업으로 통장 가입 후 2년 또는 3년간 매월 15만원의 금액을 저축하면 저축한 금액과 1:1 동일한 금액을 서울시 예산과 후원금으로 적립해주는 저축상품입니다.

지원대상
아래의조건을 모두 충족해야 합니다. 서울시에 거주하는 만 18세~만 34세의 청년이어야 하며, 근로자이며 근로소득금액이 일정 금액 이하여야 합니다. 또한 부양의무자 소득이 연 1억원 미만이며 재산이 9억원 미만인 청년에게 지원자격이 주어집니다.

지원내용
청년이 매달 15만원을 2~3년간 저축하면 서울시에서 매월 15만원을 추가로 적립해줍니다.


지원문의
서울시 희망두배 청년통장 콜센터 1688-1453, 서울시 120 다산콜센터, 자치구 동/주민센터에서 지원 문의하실 수 있습니다.
참가자 주의사항
서울시 희망두배 청년통장의 지원자는 의무 사항이 있습니다. 적립기간 동안 서울시에 연속적으로 거주해야 하며, 적립기간의 50% 이상을 저축해야 하며 근로도 유지해야 합니다(만기 시 근로증빙 서류를 제출) 적립기간 동안 금융교육을 연 1회 이상 이수해야 하며 해당 내용을 성실히 이행해야 합니다.

꿈나래통장
꿈나래통장은 자녀교육비를 마련하고 싶은 부모님을 위한 통장입니다. 꿈나래통장으로 아이 교육비를 모으면 추가 적립을 할 수 있습니다. 아래에서 지원사업 내용을 상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지원내용
부모가 5/7/10/12만원을 3년 또는 5년간 매월 저축하면 생계/의료 수급자의 경우는 부모 저축액만큼, 주거/교육급여수급자는 부모 저축액의 50%만큼 서울시 예산과 후원금으로 추가 적립해줍니다.


지원대상
서울시에 거주하는 만 14세 이하 자녀를 양육하는 만 18세 이상 부모를 대상으로 하며 기준 중위소득 80% 이하(3자녀 이상은 90% 이하), 적립기간의 50%를 저축하고 적립기간 동안 금융교육을 연 1회 이상 이수해야 합니다.

문의처
꿈나래통장 콜센터 1688-1453, 다산콜센터 120

각각의 상세 모집 내용은 서울시 누리집으로 접속하시면 빠르게 요강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서울시 자산형성지원센터 바로가기 클릭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주식 실적발표 캘린더 조회하는 방법 3가지 총정리 (0) | 2025.04.09 |
---|---|
미성년자 자녀 증여세 계산기(미성년자 증여 비과세 한도 초과하여 증여 신고하기) (1) | 2025.04.04 |
증권사수수료 제일 싼 곳 순위 증권사수수료 비교사이트 (2) | 2025.03.31 |
에코마일리지 종류 승용차마일리지로 돈도 벌고 에너지도 절약하기 (0) | 2023.06.25 |
청년도약계좌 가입대상 신청방법 정리 (0) | 2023.06.18 |